KR    EN

Temporality of Photography, Power of Stillness

Temporality of Photography, Power of Stillness

The photographic collection of Nam June Paik Art Center helps you delve into Paik’s active contribution to the Fluxus movement, and his artistic ideas embodied in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an exhibition that paved the way for an untrodden field of media art. Further to this, the temporal layers of the collection are deepened by the photographs showing how Paik’s artistic mind born out of this period of time continued to be at play as time went by.

Among the photographs of Exposition of Music taken by Manfred Montwé are those capturing Paik walking around the exhibition space dragging a spoon, a toy car’s axle, and a violin tied with a string, as shown in FIG. 1. This is Zen for Walking. Already in 1961, he trailed different objects on the street in Köln, including sandals tied on to an iron chain, a small bell, a head fragment of a sculpture, as well as a violin. He did similar performances many times over the years, and the last one dragging a violin took place as part of the 12th Annual Avant-Garde Festival of New York in Brooklyn’s Floyd Bennett Field Park that used to be an airport site. FIG. 2 is its photograph taken by Peter Moore. Zen performed by means of the linearity of a string, sounds made by the dragged objects, Paik’s small but solid appearance from behind, and the accumulated time through repeated and transformed performances over ten years. The resonance of a photograph seems more richly textured than an orchestral concert.

[FIG. 1] Nam June Paik, Zen for walking


Manfred Montwé, Zen for Walking,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Galerie Parnass, Wuppertal, 1963, 40.2×30.4cm, B&W photography, © montwéART

[FIG. 2] Nam June Paik, Violin with String


Peter Moore, Zen for Walking, 12th Annual Avant-Garde Festival of New York, Floyd Bennett Field, New York, 1975, 59.5.x40cm, B&W photography, © Estate of peter Moore/VAGA

In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the title Zen was combined with one of the experimental televisions. A television out of order where only a single line runs through the middle of the screen was called Zen for TV. He once recalled that he had spent a long evening with Joseph Beuys and Günther Uecker, as if doing a Zen exercise, watching the television with a white vertical line cutting across the bluish screen, like a flash of enlightenment. Paik’s ‘Zen’ was also applied to film: Zen for Film shown in New Cinema Festival at the Filmmakers’ Cinematheque in 1965. Organized by the cinematheque’s director Jonas Mekas, this festival presented the works of expanded cinema that merged avant-garde performances and moving images. Paik screened an empty film so that scratches and dust particles on it were projected to the screen. The physical attributes of the film interfering by accident ended up with creating screen images. As captured in FIG. 3, Paik also staged a kind of performance by positioning himself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constituting new images by his own silhouettes and movements. Such works as Zen for TV and Zen for Film, which blurred the division of form and content, have less to do with the instrumentality of media to record and represent something out there but more to do with the very materiality of media, hence drawing attention to the media itself.

[FIG. 3] Nam June Paik, Zen for Film(1964) performed as part of New Cinema Festival 1


Peter Moore, Zen for Film, New Cinema Festival Ⅰ, Film-Makers’ Cinematheque, New York, 1964, 40.x59.5cm, B&W photography, © Estate of peter Moore/VAGA

[FIG. 4] Paik with Magnet TV in his Canal Street studio


Peter Moore, Magnet TV, Canal Street studio, New York, 1965, 40.x59.5m, B&W photography, © Estate of peter Moore/VAGA

Paik carried on with research into media in technical term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black and white televisions used in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he moved on to Japan next year and worked together with technicians there to experiment on color televisions. Magnet TV produced in 1965 was a result of this research. Coils wrapped around a CRT monitor, which is a sort of electromagnet, spread electrons on the screen at a rapid rate. If one touches a magnet to the monitor, the flow of electrons is interrupted such that deflection occurs and distinctive RGB colors emerge consequently. Previously having focused on manipulating the inner circuits of television, Paik turned to what could externally influence TV images, and that is why Magnet TV was produced relatively late in 1965. FIG. 4 is Peter Moore’s photograph in which Paik is handling Magnet TV in his studio on 359 Canal Street, New York.

[FIG. 5]


Peter Moore, Fluxus Sonata No. 4, Anthology Film Archives, New York, 1975, 40.x59.5m, B&W photography, © Estate of peter Moore/VAGA

The experiments on non-linear sound-making in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reached a phase of more dynamic remixing in the 1970s. FIG. 5 shows a performance Fluxus Sonata No. 4 occurring in Anthology Film Archives (AFA) in 1975. Formerly Mekas’ Cinematheque, AFA opened in 1970, and soon after, it had to move to 80 Wooster Street, New York.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site, Paik’s Fluxus Sonata series was performed here. In Fluxus Sonata No. 4 that deployed several turntables, Paik put an LP on one of them and listened carefully with his arms crossed; and then he moved to another turntable to activate another LP. With the two vinyl records rotating simultaneously, he oscillated between the phonographs, interrupting and spinning them with his hands. Physically intervening in the operation of record players, this performance is much like today’s DJing.

In his 1992 writing Who is Afraid of Jonas Mekas? Paik said tha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as himself. According to Paik, anybody can have a good idea and anybody can do it for some years, but Mekas’ admirable patience with no promise, with no reward enabled the recordings of his 40-year life, which became a 10-hour single-frame video at last. This is an example of the extent to which Paik did not hesitate to pay a compliment and homage to other artists. Moreover, it was without reservation that he extended his gratitude to those who lent him a helping hand in one way or another. This was often peppered with his humorous eloquence, which is cogent enough to feel the significance Paik attached to being together with others.

[FIG. 6] Jean-Pierre Wilhelm, Charlotte Moorman, Jean-Pierre Wilhelm verabschiedet sich in der Wohnug von Joseph Beuys vom offiziellen Kunstleben mit einem von ihm gestalteten kursen Happening, Düsseldorf, April 1967


Manfred Leve, Jean-Pierre Wilhelm’s Retire Happening, Joseph Beuys’ house, Dusseldorf, 1967, 20.3×25.4cm, B&W photography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of 1967, Paik picked up Jean-Pierre Wilhelm’s farewell address made to the art world. “Already in his fifties and aware of his impending death, Wilhelm along with Manfred Leve came to Joseph Beuys’ apartment where Charlotte and I stayed. While having a chat, he took a piece of paper out of his pocket and recited a declaration of goodbye to his official art life. The moment was photographed by Dr. Leve. After Wilhelm returned home, Beuys, Charlotte and I giggled at the thought why the old guy had to do such a silly action. But the next year, he simply passed away.”(1986) Fig.6 is Leve’s photograph of the 1967 happening at Beuys’ house in Düsseldorf.

[FIG. 7] Nam June Paik, Hommage à Jean-Pierre Wilhelm


Manfred Leve, Hommage à Jean-Pierre Wilhelm, Dusseldorf, 1978, 20.3×25.4cm, B&W photography

[FIG. 8] Nam June Paik, Hommage à Jean-Pierre Wilhelm


Manfred Leve, Hommage à Jean-Pierre Wilhelm, Dusseldorf, 1978, 20.3×25.4cm, B&W photography

[FIG. 9] Nam June Paik, Hommage à Jean-Pierre Wilhelm


Manfred Leve, Hommage à Jean-Pierre Wilhelm, Dusseldorf, 1978, 20.3×25.4cm, B&W photography

Paik was enormously grateful to Wilhelm since Fluxus could not come into being without him and also he made three turning points in Paik’s artistic career. In 1959 when twenty-five-year-old Paik was unsuccessfully striving to take the opportunity to premiere his first composition Hommage à John Cage, it was Wilhelm that reached out his hands to help the young artist Paik so that he was able to present the work at Wilhelm’s Galerie 22. A lot of artists, emerging and established, came to see his concert because Wilhelm was a star-maker of the German art scene, and hence it was an opportunity for Paik to expand his artistic network. Wilhelm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to realize Neo-Dada in der Musik; he also wrote a foreword to Paik’s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Ten years after he passed away in 1968, Paik staged a commemorating performance Hommage à Jean-Pierre Wilhelmon 22 Kaiserstrasse Düsseldorf, where Galerie 22 was located. Walking, running, smiling, yawning, looking at passersby, and pondering. As shown in Fig. 7, 8, 9, Paik asked Leve to take photographs of those seemingly meaningless actions of his. Twenty years after he made a debut as an artist, Paik cherished the memory of a beloved friend and reliable patron of Fluxus, with everyday gestures, with the very Fluxus motions.

[FIG. 10] Paik and Charlotte Moorman performing Paik’s Variations on a Theme by Saint Saens(1964) as part of Paik’s Action Music


Peter Moore, Variations on a Theme by Saint-Saëns, 3rd Annual Avant Garde Festival of New York, Judson Hall, New York, 1965, 59.4×43.2cm, B&W photography, © Estate of peter Moore/VAGA

[FIG. 11] Paik with Charlotte Moorman wearing TV Bra for Living Sculpture


Peter Moore, TV Bra for Living Sculpture, TV as a Creative Medium, Howard Wise Gallery, New York, 1969, 49.3×49.5cm, B&W photography, © Estate of peter Moore/VAGA

“It was spring of 1991. Her last performance was dazzling indeed. Her bow moved swiftly as if a fencing champion wielded a foil. It was as if blue sparks flew up out of the cello. Two things flashed into my mind: an old Chinese saying that the last song of a dying bird is most beautiful, and the genuineness of a last advice of a knight on his deathbed who is afraid of nothing.”(1992) As is well known, after she first met Paik in 1964, Moorman as one of the closest colleagues and collaborators accomplished a lot of projects together with him and willingly responded to his daring performance ideas. FIG. 10 captures a performance of Variations on a Theme by Saint-Saens by Paik and Moorman at the 3rd Annual Avant-Garde Festival of New York in 1965. Wearing a transparent cellophane gown, Moorman begins to play the first few bars of The Swan by Camille Saint-Saëns; abruptly, she puts down her cello and walks across the stage to a large oil drum filled with water. She climbs a stepladder to the rim of the drum where she perches briefly before lowering herself into the water until she gets completely submerged. With the dress and hair dripping wet, she returns to her seat to finish The Swan. In the photograph you can see Paik assisting Moorman in climbing up and down the drum. He once wrote that there were so many works of music that he wanted to listen to in the last day of his life including: John Cage’s Winter Music played by David Tudor, the second movement of Beethoven’s Spring Sonata, or Saint-Saëns’ The Swan played by Moorman.(1992)

For Moorman, Paik not only composed performances but created sculptural works, one of which is TV Bra for Living Sculpture. Playing the cello, Moorman wore two miniature televisions encased in Plexiglass boxes attached to a set of vinyl straps. FIG. 11 shows Moorman putting on TV Bra performed on the cello in the exhibition TV as a Creative Medium at the Howard Wise Gallery, New York in 1969. Videos played on the small monitors of TV Bra varied from live broadcasts and CCTV feeds of the audience around, to prerecorded video footage. The musical notes played by Moorman and the magnets taped up to her wrists distorted the pictures; the cello sounds collected with a microphone transformed images into optical signals to adjust the screens. She did this performance for five hours at the opening, and for the duration of the exhibition, for two hours a day. The text entitled TV Bra for Living Sculpture that Paik wrote about imaginative and humanistic ways of using electronic technology was included in the exhibition’s pamphlet.

[FIG. 12] Paik improvising during a performance at Town Hall


Peter Moore, Mixed Media Opera, Town Hall, New York, 1968, 40.4×59.8cm, B&W photography, © Estate of peter Moore/VAGA

What made Paik-Moorman collaboration widely known to the public most dramatically is perhaps Opera Sextronique in 1967. In this performance, Moorman playing the cello took off clothes one by one in each movement, and when she turned topless in the second movement, the performance was cut short because she was arrested by the police. The ensuing uproar came to have social ramifications upon issues of sexual taboo and freedom of expression in music. Moorman had to go through legal proceedings, and in the wake of her trial Paik and Moorman organized a concert as a fundraiser to pay for Moorman’s legal fees. It was Mixed Media Opera held at Town Hall, New York in June 10, 1968. The repertoire included Arias No. 3 and 4 from Opera Sextronique, which had not made it in the original performance, and other popular Paik-Moorman works such as Variations on a Theme by Robert Breer and Variations on a Theme by Saint-Saëns. Paik’s Simple was also performed here. FIG. 12 is a photograph of this concert in which stripped to the waist, Paik is banging on the keys with his head. In this event, other artists made a guest appearance such as Allen Kaprow, James Tenney, Emmett Williams, and Mekas. The program contained a long text comprised of quotes from a rebuttal to Moorman’s guilt and references for the injustice of the trial.

From the picture, we cannot see Paik’s facial expression clearly. We cannot know what was happening before and after this moment, either. Nevertheless, the very stillness of the moment seems all the more compelling to invite us to get into Paik’s times and into Paik’s people. This is why still images of photography can be more powerful than ever for us, ironically, living in an age where to record and spread one’s every move and every moment quickly and vividly is too effortless. In addition to photographs taken by Leve, Montwé and Moore, the NJPAC collection also contains those taken in the 1990s by Korean photographer Eunjoo Lee, of Paik’s New York studio and a wheelchair he had to rely on suffering from a stroke. Seen through the lens of the photographers contemporary with Paik, he is an artist who, with an open and liberal attitude more than anybody else, never stepped back from the intensity of his artistic life, and who believed “what mysteries the encounter with other people holds for our insubstantial lives.”(1984)

Kim Seongeun(Senior researcher,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 anthropologist specializing in museology and contemporary art, Kim’s areas of research interest include the material and bodily agency of media art and the sensorial dimensions of art museums in performing knowledge. Having worked in Nam June Paik Art Center from 2011 to 2014, Kim is now in charge of education and public programs in Leeum, Samsung Museum of Art.

List

Contact

  • TEL + 82-31-201-8500
    FAX +82-31-201-8530
       
    Exhibition / exhibition@njpartcenter.kr
    PR / press@njpartcenter.kr
    Education / edu@njpartcenter.kr
    Reservation / reservation@njpartcenter.kr
    Archive・Library / library@njpartcenter.kr
  • Support

  • Your support will make a difference. Individual donation and corporate and organizational sponsorship provide vital support for advancing our programs. If you have any queries please email info@njpartcenter.kr
    Who supported Nam June Paik Art Center
  • Sitemap

  • Visit

    Exhibitions∙Events

    Artists

    Learn

    Collection

    Research

  • 개인정보취급방침

  • 개인정보처리방침(2019년10월18일 시행)|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제3조(휴면 고객 전환 및 개인정보 처리)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제4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제5조(개인정보처리의 위탁)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제6조(정보 주체의 권리·의무 및 행사방법)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제7조(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제8조(개인정보의 파기)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제9조(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조치)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제11조(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에 관한 사항)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직 책 : 경영본부장
    직 급 : 본부장
    연 락 처 : 031-231-7203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담 당 자 : 황록주
    연 락 처 : 031-231-7261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제12조(개인정보 열람 청구)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담 당 자 : 황록주
    연 락 처 : 031-231-7261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제13조(권익침해 구제방법)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홈페이지 : kopico.go.kr
    전 화 : 1833-6972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전 화 : (국번 없이) 182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제14조(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bf sort freepornjournal.com indiangaysite.cim xvedioz redwap.me katrina kaif fucked ragini sexy images pornhauz.com marwadi sexy video photo blue flim vedios erotikturkporno.com www clipe age com kuroinu:kedakaki seijo wa hakudaku ni somaru hentai.name nhentai mha
    bangali bhabi sex hot-hard-porn.com sex boobs sarees mausi sex adultpornsexxx.com babita xnxx telugu english sex videos porno-videos-x.com hot bf sexi vidio indianlust.mobi shivanya from nagin hindi sx video potnhub.info mastrubation boy
    amalapuram xvideos hotindiantube.net ma chele chodachudi kathrimaza indianporncave.mobi ramyasex all indian sex redwap2.com bur choda chodi hot sexy video picture indiansexbar.mobi hot girls xvideo mia khalifa porn-loop.net x.v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