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EN

Nam June Paik is explaining <Magnet TV> for the broadcast of <CBS Sunday Morni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1982
Photo: Paul Garrin. Nam June Paik Art Center Archive Paul Garrin Collection.

Nam June Paik

Born in Seoul in 1932, Paik spent his middle-school days in Seoul and Hong Kong, and his high-school days in Kamakura, Japan. He studied aesthetics in the University of Tokyo, with a graduation thesis on Arnold Schönberg. Moving to Germany in 1956 and studying European philosophy and modern music, he came to work actively with contemporary avant-garde artists and began to carve out his artist-identity by doing radical performances which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artistic canons and conventions back then. Afterwards he pursued a novel path of art making by means of new media. His media art gained momentum by his first solo show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in which he presented televisions with inner circuits modified and manipulated, as a work of art.

In 1964 Paik migrated to the U.S. where he developed his video art in full swing. Not only producing video images, he combined them with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and even created a video synthesizer, a machine to process images. His incessant exploration about music and the body was also a key factor in constructing a distinct territory of his art. From the 1980s Paik realized a series of global projects, such as Good Morning, Mr. Orwell, to tear down barriers between avantgarde art and popular culture by satellite TV technology. He won the Golden Lion of the 1993 Venice Biennale for his work on the theme of artist as nomad in the German Pavilion. Later on he expanded his technological realm into other media like laser, and while suffering a stroke since the mid-1990s, he never ceased to take his artistic step forward until he passed away in Miami in 2006.

Paik is a pioneering media artist working with various technologies in experimental ways. He saw the artist’s role as consisting in thinking about the future and sought for better ways of global communication through art. Regarded as “one of the forerunners of a new breed of artists who are scientists, philosophers and engineers at the same time” and as “a very special and genuine genius and futurologist with foresight,” Paik still lives on right here as “the most contemporary artist” today.

2000

Tiger Lives, a satellite live broadcast as part of DMZ 2000: The Millennium Celebration on January 1st.
The Worlds of Nam June Paik, a retrospective at the Guggenheim Museum, New York and the Samsung Museum of Art, Seoul.
Given the National Arts Club Award.

2001

Awarded the Wilhelm Lehmbruck Prize.

2002

Transmission, an exhibition at the Rockefeller Center, New York, showcasing Transmission Tower.

2006

Passed away in Miami on January 29th

1990

Beuys Vox 1961-86, an exhibition held at Gallery One and Gallery Hyundai, staging a shamanistic ritual A pas de loup, a memorial performance for Joseph Beuys.

1992

Awarded the UNESCO Picasso Medal.
Nam June Paik: Video Space and Video Time, the first retrospective in Korea,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1993

Participated in the German Pavilion of the 45th Venice Biennale, with Hans Haacke, and won the Golden Lion.

1994

Performed A Tribute to Charlotte Moorman in SeOUL-NYmAx: A Celebration of Arts without Borders.

Electronic Superhighway: Continental U.S., Alaska, Hawaii, a travelling exhibition across the U.S.

1995

Curated and participated in Info Art ’95, the first Gwangju Biennale.
Played a founding role in opening the Korean Pavilion in the Venice Biennale.
Baroque Laser at St. Mariä Himmelfahrt, Dyckburg-Kirche, Münster.
Awarded the 6th Fukuoka Arts and Culture Prize.

1996

Awarded the Hoam Art Prize.
Suffered a stroke.

1997

Presented 32 Cars for the 20th Century: Play Mozart’s Requiem Quietly in Skulptur Projekte Münster.
Set to work on Three Elements.
Awarded Goethe-Medaille für Kunst und Wissenschaft.

1999

Nam June Paik: Fluxus/Video, a retrospective at Kunsthalle Bremen.
Listed as the eighth of the 100 most prominent artists in the world by the magazine Capital.
Named among the 25 most influential artists in the 20th century by the magazine ARTnews.

1980

Laser Video, an exhibition in cooperation with Horst Baumann at Staadtischen Kunsthalle Düsseldorf.
Premiered Symphony No. 6 in Begegnung mit Korea, WDR, Köln.
Wrote “Random Access Information.”

1981

Awarded the Will Grohmann Prize of Akademie der Künste, Berlin.

1982

Nam June Paik, a retrospective at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York, staging a car accident of Robot K-456, called the “first catastrophe of the 21st century.”

1984

Good Morning, Mr. Orwell, the first satellite project, broadcast live worldwide on the New Year’s Day via the networks of WNET New York and FR3 Paris.
Appeared in the TV show, bei Bio, at ARD Berlin.
Performed Coyote III with Joseph Beuys at Sogetsu Hall, Tokyo.
Nam June Paik—Mostly Video, the first retrospective in Asia, at the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Nam June Paik—Art for 25 Million People at Daad Galerie, Berlin.

1986

Participated in Ars Electronica, Linz.
Performed MS-Fluxussus in Museum Insel Hombroich, Neuss.
Staged Young Penis Symphony in the exhibition Die 60er Jahre: Köln Weg zur Kunstmetropole at Kölnischer Kunstverein.
Bye Bye Kipling, the second satellite project broadcast live worldwide.

1988

Wrap Around the World, the final piece of the satellite trilogy, broadcast live worldwide.
The More the Better, consisting of 1,003 TV monitors permanently installe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Nam June Paik: Video Works 1963-88, a solo exhibition at the Hayward Gallery, London.

1989

Nam June Paik at Galerie Weisses Haus, Hamburg.

1970

Completed Paik-Abe Video Synthesizer, supported by WGBH and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used it for the first time for Video Commune, a four-hour live broadcast.
Invited as lecturer in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Participated in Vision & Television, a group exhibition at Rose Art Museum, New York.
Wrote “Global Groove and Video Common Market.”

1971

Artist in Residence at TV Lab, WNET New York.
Participated in Sonsbeek ’71 held in Sonsbeek Park, Arnheim.
Presented TV Cello and premiered A Concerto for TV Cello and Videotapes, at Galeria Bonino, New York.

1972

Participated with Jud Yalkut in Video-Film Concert at The Kitchen, New York, and showed Video Tape Study No. 3 and Cinema Metaphysique No.1-5.

1973

A Tribute to John Cage broadcast at WNET New York.
Completed Global Groove.

1974

Nam June Paik: Videa ‘n’ Videology 1959-1973, a solo exhibition at the Everson Museum of Art, New York
Electronic Art IV, a solo exhibition at Galeria Bonino, New York, and presented TV Sea.
Participated in the symposium Open-Circuits: The Future of Television at MoMA New York.
Global Groove broadcast at WNET New York.
Participated in Projekt ’74 at Kunsthalle Köln, and presented TV Buddha.
Wrote “Media Planning for the Postindustrial Age: The 21st century is now only 26 years away.”

1975

Presented TV Garden in the exhibition Video Art at the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ented Fish on sky—Fish hardly flies anymore on the sky —Let fishes fly again, at Martha Jackson Gallery, New York.
Broadcast Suite 212 at WNET New York.
Performed Fluxus Sonata IV at Anthology Film Archive, New York.
Participated in the 12th Annual Avant-Garde Festival of New York, and performed Zen for Walking for the last time.

1976

Moon is the Oldest TV, a solo exhibition at Rene Block Gallery, New York.

Filmed Guadalcanal Requiem in the Solomon Islands.

Nam June Paik: Werke 1946‐1976: Musik‐Fluxus‐Video, a solo exhibition at Kölnischer Kunstverein.

1977

Married to Shigeko Kubota, a Fluxus and and video artist
Showed Guadalcanal Requiem and performed Opera Sextronique in the event From Jail to Jungle at Carnegie Hall, New York.
Nam June Paik: Werke 1946‐1976: Musik‐Fluxus‐Video, a solo exhibition at Stedelijk Museum Amsterdam.
Staged performances in Kassel Documenta 6: Satellite Telecast with Joseph Beuys and Douglas Davis.

1978

Invited as professor in Staatliche Kunstakademie Düsseldorf.
Nam June Paik: Video Garden, a solo exhibition at Centre Pompidou, Paris.
A Tribute to John Cage, an exhibition at Watari Gallery, Tokyo.
Performed Piano Duet in Memoriam George Maciunas with Joseph Beuys at Staatliche Kunstakademie Düsseldorf.
Nam June Paik, a retrospective at Muse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Organized and produced Visa(Peace Correspondence) series at TV Lab, WNET New York

1979

You Can’t Lick Stamps in China, broadcast as part of Visa series at WNET New York.

1960

Premiered Étude for Pianoforte at the atelier of Mary Bauermeister.

1961

Met the Fluxus artist George Maciunas.
Participated as an action composer in Originale and premiered Étude Platonique No. 3, Zen for Head and Simple, at Theater am Dom, Cologne.
Premiered Zen for Walking on the streets of Cologne.
Composed “Symphony for 20 Rooms.”

1962

Participated in Neo-Dada in the Musik at Kammerspiele Düsseldorf.
Participated in Fluxus International Festival of the Newest Music in Wiesbaden and performed One for Violin, etc.
Mementos of the 20th Century(Erinnerung an das 20 Jahrhundert): Marilyn Monroe presented at Kunsthalle Düsseldorf.

1963

Met Uchida Hideo and Shuya Abe in Japan.
Performed Fluxus Champion Contest in Festum Fluxorum Fluxus: Musik und Antimusik – Das Instrumentale Theater, at Staatliche Kunstakademie Düsseldorf.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the first solo exhibition at Galerie Parnass, Wuppertal.
Wrote “Postmusic: The Monthly Review of the University for Avant-Garde Hinduim – New Ontology of Music.”

1964

Produced Robot K-456.
Moved to New York and met Charlotte Moorman.
Premiered Robot Opera with Robot K-456 at the 2nd Annual Avant-Garde Festival of New York, organized by Charlotte Moorman and held in Judson Hall.

1965

Purchased a Sony Portapak recorder.
Electronic Video Recorder, a screening event at Café au Go Go, New York.
Nam June Paik: Cybernetics Art and Music, a solo exhibition at New School, New York.
Electronic Art I, a solo exhibition at Galeria Bonino, New York.
Presented Zen for Film, etc. in New Cinema Festival I at the Filmmakers Cinematheque, New York.
Premiered Variations on a Theme by Saint-Saens with Charlotte Moorman at Philadelphia College of Art.

1966

Premiered Opera Sextronique with Charlotte Moorman in the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Artist in Residence at Bell Labs(until 1968).

1967

Arrested on a charge of public indecency during the performance of Opera Sextronique with Charlotte Moorman at the Filmmakers Cinematheque, New York.

1968

Participated in Cybernetic Serendipity: The Computer and the Arts, a group exhibition at the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London.
Wrote “Expanded Education for the Paperless Society.”

1969

Artist in Residence at WGBH Boston and produced 9/23/69: Experiment with David Atwood.
Electronic Opera No. 1, a broadcast as part of The Medium is the Medium, WGBH, Boston.
Presented Participation TV and TV Bra for Living Sculpture in the exhibition TV as a Creative Medium at Howard Wise Gallery, New York.
Set to work with Shuya Abe on Paik-Abe Video Synthesizer.

1950

Moved back to Korea, left Busan for Kobe at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lived in Kamakura.

1952

Admitted to College of Humanities and Industrial Science, the University of Tokyo.

1956

Graduated from Dept. of Aesthetics and Art History, the University of Tokyo, with a thesis on Arnold Schönberg.
Moved to Germany and admitted to Dept. of Philosophy, the University of Munich, and studied musicology and art history.

1957

Met Karlheinz Stockhausen at the International Summer Courses for New Music, Darmstadt.
Studied music from Wolfgang Fortner at Hochschule für Musik Freiburg, and composed his first string quartet.

1958

Met John Cage and Yun Isang during the International Summer Courses for New Music, Darmstadt.
Frequented WDR Electronic Music Studio where Karlheinz Stockhausen worked.

1959

Premiered Hommage à John Cage at Gallery 22, Düsseldorf.

1945

Admitted to Gyeonggi High School.

1947

Developed an interest in 20th century new music and Arnold Schönberg, through pianist Shin Jae Deok and composer Lee Geon Woo.
Composed his own pieces such as After Many Many Days and A Song(Hyangsu).

1949

Moved to Hong Kong, admitted to Royden School.

1932

Born on July 20th in Jongno, Seoul, as the youngest of five children of Paik Nak Seung and Jo Jong Hee.

References

List of Paik’s audioworks

Paik’s documentary video works

List of Paik’s single channel video works

List of Paik’s film works

List of performances by Paik

List of solo exhibitions by Paik

List of group exhibitions by Paik

List of interviews with Nam June Paik

Bibliography (magazines & newspapers)

Bibliography (General)

Contact

  • TEL + 82-31-201-8500
    FAX +82-31-201-8530
       
    Exhibition / exhibition@njpartcenter.kr
    PR / press@njpartcenter.kr
    Education / edu@njpartcenter.kr
    Reservation / reservation@njpartcenter.kr
    Archive・Library / library@njpartcenter.kr
  • Support

  • Your support will make a difference. Individual donation and corporate and organizational sponsorship provide vital support for advancing our programs. If you have any queries please email info@njpartcenter.kr
    Who supported Nam June Paik Art Center
  • Sitemap

  • Visit

    Exhibitions∙Events

    Artists

    Learn

    Collection

    Research

  • 개인정보취급방침

  • 개인정보처리방침(2019년10월18일 시행)|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제3조(휴면 고객 전환 및 개인정보 처리)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제4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제5조(개인정보처리의 위탁)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제6조(정보 주체의 권리·의무 및 행사방법)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제7조(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제8조(개인정보의 파기)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제9조(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조치)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제11조(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에 관한 사항)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직 책 : 경영본부장
    직 급 : 본부장
    연 락 처 : 031-231-7203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담 당 자 : 황록주
    연 락 처 : 031-231-7261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제12조(개인정보 열람 청구)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담 당 자 : 황록주
    연 락 처 : 031-231-7261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제13조(권익침해 구제방법)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홈페이지 : kopico.go.kr
    전 화 : 1833-6972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전 화 : (국번 없이) 182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제14조(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bf sort freepornjournal.com indiangaysite.cim xvedioz redwap.me katrina kaif fucked ragini sexy images pornhauz.com marwadi sexy video photo blue flim vedios erotikturkporno.com www clipe age com kuroinu:kedakaki seijo wa hakudaku ni somaru hentai.name nhentai mha
    bangali bhabi sex hot-hard-porn.com sex boobs sarees mausi sex adultpornsexxx.com babita xnxx telugu english sex videos porno-videos-x.com hot bf sexi vidio indianlust.mobi shivanya from nagin hindi sx video potnhub.info mastrubation boy
    amalapuram xvideos hotindiantube.net ma chele chodachudi kathrimaza indianporncave.mobi ramyasex all indian sex redwap2.com bur choda chodi hot sexy video picture indiansexbar.mobi hot girls xvideo mia khalifa porn-loop.net x.vides